중국인민해방군 동부전구 "미 군함 대만해협 통과"
[동부전구 위챗 계정 캡처. 재판매 및 DB금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 이후 처음으로 미 해군 함정이 대만해협을 통과하자 중국군 당국이 "안보 위협을 증가시키는 행위"라며 반발했다.
12일 로이터통신과 중국중앙TV(CCTV)에 따르면 중국군 동부전구 대변인인 리시 해군 대령은 이날 공식 소셜미디어(SNS) 위챗 계정을 통해 "10일부터 12일까지 미 해군 구축함 존슨호와 해양측량선 바우디치호가 대만해협을 통과했다"고 밝혔다.
중국인민해방군에서 대만해협과 동중국해·태평양을 담당하는 동부전구는 해·공군 병력을 조직해 미 군함 통행의 전 과정을 감시하고 경계 태세를 유지하며 대응했다고 공개했다.
리 대변인은 "미국의 이러한 행위는 잘못된 신호를 전달하는 것으로, 안보 위협을 증가시킨다"고 비난했다.
그는 이어 "동부전구 군은 항상 고도의 경계 태세를 유지하며, 국가 주권 안전과 지역 평화 안정을 해치는 데 단호하게 맞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 해군도 소속 함정의 대만해협 통과 사실을 이날 인정했다.
미 군함의 이번 작전은 지난달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한 이후 정치적으로 민감한 대만해협을 통과하는 미국의 첫 임무라고 로이터 통신은 짚었다.
미군은 함정이나 항공기를 한 달에 한 번꼴로 대만해협을 통과시켜 중국의 반발을 사고 있으며, 중국 역시 대만 인근 해역에 함정을 파견하는 등 '회색지대 전술'을 통해 연일 대만을 압박하고 있다.
미 해군 함정의 대만해협 통과가 마지막으로 확인된 것은 캐나다 군함과의 합동 작전을 진행한 지난해 10월이었다고 로이터통신은 전했다.
이후 지난해 11월에는 P-8A 포세이돈 초계기가 대만해협 상공을 비행했다는 사실이 알려진 바 있다.
미 군함의 대만해협 통과는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첫 정상회담인 미·일 정상회담에서 대만해협의 평화 유지 필요성을 거론한 성명이 나온 뒤 이뤄진 것이라는 점에서도 주목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7일 취임 후 첫 정상회담인 일본 이시바 시게루 총리와의 회담 후 발표한 성명에서 대만해협의 평화와 안정 유지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미·중 패권 경쟁 구도에서 중국 남동부 푸젠(福建)성과 대만 사이의 전략적 요충지인 대만해협에서 중국과 대만 간 군사적 충돌 가능성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중국군 "美 잘못된 신호에 안보위협 증가…단호히 맞설 것"
<저작권자 ©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