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일 밤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이후, 계엄군 297명이 선거관리위원회에 투입된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계엄 해제 권한을 가진 국회보다 더 이르게 투입된 것으로, ‘부정 선거’ 의혹과 관련한 증거 확보를 위한 것이라는게 김용현 전 국방부장관의 주장이다.
김용빈 선관위 사무총장은 5일 국회에서 열린 행정안전위원회 긴급 현안질의에 출석해 "지난 3일 오후 10시30분께 계엄군 10여 명이 선관위 청사 내에 투입됐다"고 밝혔다.
김 총장은 이어 "최초 투입된 계엄군 10여 명은 중앙선관위 야간 당직자 등 5명의 핸드폰을 압수하고 행동감시 및 청사 출입 통제를 실시했다"며 "추가 투입된 100여 명은 1층 로비 등에서 경계작전만 실시했으며 총 3시간 20여 분 동안 점거했다"고 부연했다.
윤 대통령이 긴급 담화를 통해 비상계엄을 선포한 것이 같은날 밤 10시 24분경인데, 그로부터 6분 뒤 계엄군이 진입한 것이다. 선관위에 투입된 계엄군은 국회에 투입된 병력 280명보다 많을 뿐더러, 투입 시간 또한 국회와 비교해 매우 이르다.
김 사무총장은 계엄군이 투입된 배경에 대해서는 "모른다"고 답했다.
이날 국회 국방위원회 긴급 현안질의에서 이에 대한 질문이 있었다. 계엄사령관을 맡았던 박안수 육군참모총장은 '선관위를 꼭 집어서 특별한 조치를 한 이유는 뭐냐'는 질문에 "그것은 제가 모르는 사실"이라고 답했다.
계엄군 투입명령을 내린 김용현 전 장관은 한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선관위에 계엄군을 투입한 이유에 대해 "많은 국민들이 부정선거 의혹을 제기함에 따라 향후 수사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시스템과 시설 확보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를 확보하는 과정에서 국회의 계엄 해제 요구 결의가 있어 철수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일부 유튜버들은 지난 4월 10일 치뤄진 총선이 민주당의 압승으로 끝나자 부정선거 의혹을 제기한 바 있다. 이에 따라 김 전 장관이 수사 기관이 아닌 계엄군을 통해 부정선거 의혹을 강제 수사하려고 한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박안수 총장, 선관위 병력 투입 질문에 "몰랐다"
<저작권자 © RK Media,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