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번에 수십 가지 돌연변이가 반영된 코로나19 바이러스 변이종이 발견돼 과학자들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어제(24일) 영국 가디언에 따르면 문제의 코로나19 변이종은 'B.1.1.529'로 불린다.
이 변이종은 '스파이크 단백질'에 유전자 변이 32개를 보유하고 있다.
바이러스는 스파이크 단백질을 이용해 숙주 세포로 침투하기 때문에 스파이크 단백질에 돌연변이가 생기면 전파력에 변화가 생길 수 있다.
또 인체의 면역 체계가 바이러스를 공격하기 더 어려워질 수도 있다.
전세계에서 접종하는 코로나19 백신은
모두 스파이크 단백질에 작용하는 방식이다.
지금까지 확인된 B.1.1.529 변이는 총 10여 건이다.
최초 발견은 지난달(10월) 11일 아프리카 보츠와나에서였다.
이후 보츠와나에서 2건이 더 확인됐다.
이후 6건은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1건은 홍콩에서 발견됐다.
홍콩의 사례는 36살 남성으로, 남아공을 20일간 방문하고 돌아온 지 이틀 만에 격리 중 확진 판정을 받았다.
영국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의 바이러스학자인 톰 피콕 박사는B.1.1.529 변이종의 바이러스 정보를 유전체 정보 공유 사이트에 공유하면서 매우 많은 양의 스파이크 돌연변이가 크게 우려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RK Media,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