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어 입력폼

"미 기준금리 향후 추가인상 여부는 노동시장 등 공급이 좌우"

김나연 기자 입력 11.02.2023 01:49 AM 수정 11.02.2023 01:51 AM 조회 1,535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어제(1일) 기준금리를 동결한 가운데, 일각에서는 향후 기준금리 추가 인상 여부는 노동시장을 비롯한 공급 측면에 달려있다는 관측을 내놓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날 연준이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만장일치로 기준금리를 5.25~5.50%로 유지하기로 한 데 대해 이같이 진단했다.

연준의 이번 기준금리 동결은 국채 금리 상승에 따른 것이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국채 금리 상승에 따른 금융 긴축이 기준금리 인상과 유사한 효과를 발휘하고 있다는 얘기다.

현재로선 향후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 여부는 노동시장을 비롯한 공급 측면에 달려 있다.

최근처럼 소비·고용이 빠르게 늘어날 경우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압력이 커지고 이에 대응해 기준금리를 올리는 게 일반적이다.

하지만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수요가 빠르게 늘고 있지만 공급 역시 마찬가지라면서, 공급 측면의 호황(boom) 덕분에 빠른 성장세와 함께 인플레이션 하락이 나타났다고 말했다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공급 측면의 변화는 인구·투자·혁신 등에 따라 천천히 나타나지만, 코로나19 확산기 이후에는 변동성이 커진 상태다.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봉쇄와 경기 부양 등으로 상품 소비가 늘어난 가운데 공급망 혼란과 상품 부족이 발생했고, 수백만 명이 노동시장을 이탈하면서 노동력 부족으로 이어졌기 때문이다.

그 결과 2021년에 실업률이 4%를 넘기는 등 유휴 생산능력이 있는 상황에서도 인플레이션이 발생했다는 것이다.

이러한 가운데 2021년 9월 실업률이 4.8%에 구인 건수가 1천90만건이었는데, 2년이 지난 최근은 실업률이 3.8%로 내려왔지만 구인 건수도 960만건으로 줄어드는 등 달라진 흐름이 나타났다.

이는 코로나19 확산 이전 의회예산국(CBO)이 추산한 장기추세의 4배가량인 300만명의 노동력이 지난해 늘어난 덕분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파월 의장은 노동시장에서 매우 긍정적인 수급 재조정(리밸런싱)을 목격하고 있으며, 이는 부분적으로 훨씬 많은 공급에 따른 것이라면서이 덕분에 노동 수요가 여전히 매우 강력한데도 임금 인상이 둔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연준이 추정하는 미국의 장기 잠재성장률은 연 1.8%로, 통상 성장률이 이를 넘어서면 인플레이션 압력이 발생하는 것으로 본다.

하지만 파월 의장은 공급망 개선과 노동 공급 확대 등으로 일시적으로 잠재성장률이 올라간 만큼, 현재는 이러한 논리가 적용되지 않는다고 평가했다.

실제 3분기 성장률이 4.9%(연율)를 기록한 가운데 2∼3분기 사이 실업률은 오르고 인플레이션은 떨어졌다.

인플레이션이 계속 떨어지는 한, 연준이 강력한 성장만을 이유로 기준금리 인상에 나서기를 꺼리는 배경에 이러한 잠재성장률 성장 가능성에 대한 고려가 있다고 WSJ은 해석했다.

문제는 15∼64살의 노동시장 참여 수준이 코로나19 이전으로 돌아왔고, 노동력 확대에 기여한 이민자 유입도 둔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민자들이 취업 허가가 없거나 저숙련자인 경우 공급 증가 효과가 불분명하고, 인공지능(AI)에 따른 생산성 증대가 미지수라는 평가도 나온다.

여기에 더해 인플레이션이 3%대에서 머무르며 추가로 내려가지 않을 경우 연준 목표치인 2% 도달에 어려움이 예상되며, 노동시장 등 공급 측면 덕분에 내려갈 가능성은 작다고 WSJ은 덧붙였다.
댓글 0
0/300
※ 이 댓글에 대한 법적 책임은 작성자에게 귀속됩니다.
  •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