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화 오늘 현재로 가지고 와 본다

글쓴이: 한마당  |  등록일: 12.08.2024 08:40:46  |  조회수: 550
“오늘의 대한민국의 현재로 옮겨놓고 본다.”

“꽃이 지기로서니
바람을 탓하랴
주렴 밖애 성긴 별이
하나 둘 스러지고
귀촉도 울음 뒤에
머언 산이 다가서다”  -낙화,조지훈-

이 구절은 청록파 조지훈 시인의 "낙화"에서 발췌한 부분으로, 자연의 변화와 인간의 감정을 섬세하게 표현하고 있습니다. 각 구절의 해석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꽃이 지기로소니 바람을 탓하랴": 꽃이 지는 것은 자연의 섭리이므로 그것을 바람의 탓으로 돌릴 수 없다는 의미입니다. 이는 인생의 변화나 끝맺음을 받아들이는 자세를 상징합니다.

2. "주렴 밖에 성긴 별이 하나 둘 스러지고": 창문 너머로 드문드문 보이는 별들이 하나둘씩 사라지는 모습을 묘사합니다. 이는 밤의 깊어짐과 함께 시간의 흐름을 표현하며, 인생의 덧없음을 암시합니다.

3. "귀촉도 울음 뒤에 머언 산이 다가서다": 두견새의 울음이 멈춘 후, 멀리 있는 산이 가까이 다가오는 듯한 느낌을 표현합니다. 이는 고요함 속에서 자연의 웅장함과 고요한 아름다움을 느끼게 하고, 인생의 끝자락에서 느끼는 평온함과 수용의 마음을 상징합니다.

"오늘 대한민국의 현재로 옮기면 이해가 더 쉽습니다."

“탄핵이 무산되었기로서니
국민의 힘을 탓하랴
국회 밖에 운집한 시민들이
하나 둘 지켜보고
시민의 함성 뒤에
머지않아 희망이 다가올 텐 데”

“자연(自然)의 섭리(攝理)를 거스를 수 없다.”

(전문)
꽃이 지기로서니
바람을 탓하랴
주렴 밖애 성긴 별이
하나 둘 스러지고
귀촉도 울음 뒤에
머언 산이 다가서다

촛불을 꺼야 하리
꽃이 지는데

꽃 지는 그림자
뜰에 어리어

하이얀 미닫이가
우련 붉어라

묻혀서 사는 이의
고운 마음을

아는 이 있을까
저허하노니

꽃이 지는 아침은
울고 싶어라.                  -상아탑,1946-

-캘리포니아(加州),로스 앤젤레스(羅城)에서,만두(萬頭)-
DISCLAIMERS: 이 글은 개인회원이 직접 작성한 글로 내용에 대한 모든 책임은 작성자에게 있으며, 이 내용을 본 후 결정한 판단에 대한 책임은 게시물을 본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라디오코리아는 이 글에 대한 내용을 보증하지 않으며, 이 정보를 사용하여 발생하는 결과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라디오코리아의 모든 게시물에 대해 게시자 동의없이 게시물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정 · 복제 · 배포 · 전송 등의 행위는 게시자의 권리를 침해하는 것으로 원칙적으로 금합니다. 이를 무시하고 무단으로 수정 · 복제 · 배포 · 전송하는 경우 저작재산권 침해의 이유로 법적조치를 통해 민, 형사상의 책임을 물을 수 있습니다. This article is written by an individual, and the author is full responsible for its content. The viewer / reader is responsible for the judgments made after viewing the contents. Radio Korea does not endorse the contents of the articles and assumes no responsibility for the consequences of using the information. In principle, all posts in Radio Korea are prohibited from modifying, copying, distributing, and transmitting all or part of the posts without the consent of the publisher. Any modification, duplication, distribution, or transmission without prior permission can subject you to civil and criminal liability.
댓글
  • 한마당  4달 전  

    청록파(靑鹿派)는 1940년대 초 잡지 《문장》지의 추천으로 시단에 등장한 조지훈, 박두진, 박목월 시인 세 명을 말한다.

    같은 시기에 《문장》지의 추천으로 시단에 등장한 조지훈, 박두진, 박목월은 우연히 공통적인 시풍(詩風)을 가졌는데, 시를 표현할 때, 자연을 바탕으로 전통적인 운율 감각을 써서 자연파 또는 청록파라 부르는 시파를 이루었다.

  • 한마당  4달 전  

    먼저 박목월은 〈길처럼〉, 〈그것은 연륜(年輪)이다〉, 〈산그늘〉과 1940년 〈가을 어스름〉이 추천되었는데, 그의 시는 대체로 애련·소박한 향토적인 세계를 노래했다. 박두진은 〈낙엽송〉(落葉頌)(1939), 〈들국화〉(1940)가 추천된 후 뒤에 발표된 〈도봉〉(道峰), 〈연륜〉(年輪), 〈숲〉, 〈설악부〉(雪岳賦), 〈푸른 숲에서〉 등 자연과의 친화에서 출발하여 싱싱한 자연의 생활력과 또 피안적이며 신앙적인 시세계를 보여주었다. 한편 조지훈은 〈승무〉(僧舞)(1939), 〈봉황수〉(鳳凰愁)(1940) 등의 추천시와 뒤에 발표한 〈고풍의상〉(古風衣裳), 〈고사〉(古寺) 등 그 제재(題材)·시상(詩想)에 있어서 제2의 자연이라 할 수 있는 고적(古蹟)·고전에 대한 애정을 나타내어서 화사(華奢)·전아하고, 전통적이며 고전적 시세계를 이룬 것이 특징이었다.

  • 한마당  4달 전  

    이 세 사람의 시인은 이후의 활동과 함께 광복 이전과 이후의 한국시를 이어주는 징검다리로서의 구실을 했고 시의 순수성을 굳건히 지키며 시의 바른 길을 밝혀 주었다. 특히 이 청록파 시인들의 공통적인 특징인 자연의 세계는 전기의 전원시를 한층 발전시킨 참신한 감각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들의 자연시는 암흑기적인 시대 현실에 대해 도피적인 시세계라기보다 추악한 도시 현실을 외면한다는 뜻에서 자연 복귀라고 할 수 있으며, 이들이 동양 시인의 체질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전통적인 세계가 그들의 시적 근거로 형상화되었다. 이 청록파 시인은 광복 후 시단의 전통의 집대성에 큰 영향을 끼쳤으므로 광복부터 6·25 전쟁까지의 한 시기를 대표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