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법 교배 / 판매

글쓴이: worldmusic  |  등록일: 07.08.2013 16:48:51  |  조회수: 5871
엘에이시 (City of Los Angeles)에 거주하시거나 LA 시에 소재한 사이트를 통해 분양하시는 분들께서는 생후6개월 미만의 강아지와 고양이를 판매/입양 (무료입양도 포함됩니다. 주의!!!!)보낼시 반드시 시에서 발급하는 Transfer Permit (허가증 -- 120.00불 시에 지불하셔야함)을 얻은후에만 판매/입양을 보내실수 있습니다. 이 허가증발급시에는 마이크로 칩 장착, 백신접종 유무와 중성화 수술이 되어 있어야 하고( LA시- 4개월 이전에 반드시 중성화수술 시켜줘야 하는 법), 그리고 "이 강아지/고양이가 어디서 났는지"(  1년에 한번 유효한 breeder license ($235) 없이 교배해서 새끼 놓게하면 불법)를 밝히셔야 합니다.

판매/입양광고시에 반드시 이 Transfer permit 넘버를 리스트하셔야하구요. 어길시에는 벌금과 강아지/고양이의 압수, 감옥구금형도 가능합니다.

 이 조례는 레스큐단체, 휴메인 소사이어티, 쉘터, 그리고 라이센스가 있는 펫샵은 제외됩니다

신고및 고발 주소/전화

Animal Services Permit Unit at (323) 224-0927.

LA Animal Services
221 N. Figueroa Street, 5th Floor
Los Angeles, CA 90012
(213) 482-9558

http://www.laanimalservices.com/laws-policies/permits/

http://www.laanimalservices.com/laws-policies/spayneuter-ordinance/

http://www.laanimalservices.com/laws-policies/permits/breeders-permit/
 

LA시는 2013년부터는 펫샵에서 개, 고양이, 토끼는 쉘터 펫이나 레스큐된 펫만 분양 판매할수 있고  허가받은 브리더든 가정분양/백야드 브리더던 그기서 온 펫은 팔지 못하도록 하는 판매금지 조례안이 4월 17일자로 통과되었답니다. 3년간 한시적이긴 하지만 그때가면 자동으로 영구적으로 되리라고 봅니다.

이번조치는 열악한 환경에서 자라는 Puppy Mill이나 Kitten Factory 라고 불리우는 불법 분양업자들의 열악한 환경에서 자라는 펫들 수도 줄여서 결국에는 시운영 쉘터의 안락사율을 줄일수 있다고 하니 진일보적이고 고무적인 조치라고 봅니다. 

일부 그루밍샵에서 불법으로 파는 펫도 해당이 됩니다.

LA City Council Moves Forward On Banning Pet Sales

 LOS ANGELES (CBS) — The L.A. City Council voted Tuesday in favor of banning stores from selling dogs, cats and rabbits that are not rescues in an effort to curb the city’s animal euthanasia rates.

Eleven members of the council approved the motion, which will be drafted by the City Attorney’s Office into an ordinance banning pet sales. Councilman Bill Rosendahl cast the dissenting vote.

Councilman Paul Koretz, who sponsored the motion, said the ban would help eliminate puppy mills and reduce the city’s animal euthanasia rates.

“Puppy mills are a very cruel practice with inhumane conditions that often result in the animals having many kinds of medical problems,” Koretz said.

The approved motion also directed the Animal Services Department to report back on how the proposed ban, if enacted, would affect kill rates at city shelters and its economic effect on pet stores. Koretz’s motion also asks the department to craft a way to distinguish pet shops that comply by selling rescue dogs, cats and rabbits from stores that sell other live animals like fish and reptiles.

The ban on pet sales would go into effect six months after the ordinance is enacted and would be for a temporary three-year trial period.

(©2012 CBS Local Media, a division of CBS Radio Inc. All Rights )

길거리 등 공공장소에서 애완동물을 팔고 사는 행위가 LA시에서 금지 되었습니다.

2011년  8월 3일  LA 시의회는 이같은 내용의 조례안을 표결에 부쳐 11-0 만장일치로 통과시켰습니다.

이 조례안에 따르면 길거리 등에서 애완동물을 사다가 적발될 경우 경범죄로 입건돼 처음 적발의 경우 250달러의 벌금형에 처해질 수 있다고 합니다.

시 당국에 따르면 현재 다운타운의 패션 디스트릭과 베니스비치 등지에서 애완동물을 공공연히 거래하는 행위가 만연해 문제가 돼 왔는데 이 조례안을 상정한 잔 페리 시의원은 “길거리 등에서 편법으로 거래되는 애완동물들의 대부분은 적절한 예방접종이 안 돼 있거나 질병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커 이같은 거래행위는 팔고 사는 사람과 동물 모두에게 건강과 안전에 위협이 되고 있다”며 조례안의 취지를 설명했다고 합니다.
DISCLAIMERS: 이 글은 개인회원이 직접 작성한 글로 내용에 대한 모든 책임은 작성자에게 있으며, 이 내용을 본 후 결정한 판단에 대한 책임은 게시물을 본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라디오코리아는 이 글에 대한 내용을 보증하지 않으며, 이 정보를 사용하여 발생하는 결과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라디오코리아의 모든 게시물에 대해 게시자 동의없이 게시물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정 · 복제 · 배포 · 전송 등의 행위는 게시자의 권리를 침해하는 것으로 원칙적으로 금합니다. 이를 무시하고 무단으로 수정 · 복제 · 배포 · 전송하는 경우 저작재산권 침해의 이유로 법적조치를 통해 민, 형사상의 책임을 물을 수 있습니다. This article is written by an individual, and the author is full responsible for its content. The viewer / reader is responsible for the judgments made after viewing the contents. Radio Korea does not endorse the contents of the articles and assumes no responsibility for the consequences of using the information. In principle, all posts in Radio Korea are prohibited from modifying, copying, distributing, and transmitting all or part of the posts without the consent of the publisher. Any modification, duplication, distribution, or transmission without prior permission can subject you to civil and criminal liability.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