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미엄 딜러

차량검색

중고차 시세 조회

개인매물

자동차 정보

미래차 대비 못한 부품사 40.2%.."국가차원 지원체계 시급"

국내 자동차 부품업체 중 상당수가 미래차에 대응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연기관차 판매량 감소로 인해 실적 타격이 예상되는 가운데 대응 방법을 모르거나 투자 여력이 없다는 이유에서다. 이들 부품사가 미래차 시장에 대응할 수 있도록 컨설팅이나, 금융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17일 김용원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 안전환경연구본부장이 모빌리티학회에 투고한 '미래차 전환 대응실태 평가와 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미래차 관련 계획이나 추진 사항이 없는 기업이 설문조사 대상인 187개사 중 74개사(40.2%)로 나타났다.

설문조사 대상은 국내 완성차 업체 5개사의 협력사로 1차 협력사가 73.1%를 차지했다. 184개사 중 39.6%는 “미래차 관련 제품을 개발·생산 중”이라고 응답했으나 40.2%는 “추진 계획 조차도 없다”고 답했다.

특히 기업 규모가 작을수록 미래차 시장 대응이 미흡했다. 미래차 시장에 대응하는 업체 비중은 매출 1000억원 이상 기업에선 62.7%로 나타났으나 500억원 미만 기업에선 16.1%에 불과했다.

미래차 사업을 추진하는 협력사 중에서도 수익이 발생한 곳은 17.8%에 그쳤다. 아직 지속 투자가 필요한 실정이다. 미래차 부품 1종을 개발·생산하는 데 투입되는 비용과 기간은 평균 13.9억원, 32.1개월로 나타났다.

미래차 대응 계획이 부재한 기업들 중에선 현재 제품으로 대응 가능하다(45개사)는 응답도 있었으나 △대응방법 모름(13개사) △제품·기술 특성으로 대응 포기(5개사) △인적자원 부족(5개사) △자금부족(7개사)는 부정적 응답도 나왔다.

미래차 분야 진출 시 애로사항은 △공급처·기술 확보(33개사) △기반기술·연구개발(R&D) 능력·인력 부적합성(32개사) △투자자금 부족(20개사) △진출 분야 불확실(16개사) 순으로 나타났다. KAMA는 다수 기업이 독자적으로 미래차 시대에 대응하기 힘든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다수 기업은 R&D에도 적극적이지 않았다. 매출액 대비 자동차 부문 R&D 투자 비율이 5% 미만인 업체가 79개사, 자동차 R&D 투자 비중 중 미래차 분야 비중이 10% 미만인 곳은 57개사로 나타났다.

KAMA는 부품사들이 미래차 시장에 대응하도록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우선 내연기관차 부품 수익을 바탕으로 미래차 관련 투자를 진행할 수 있도록 내연기관차 퇴출 등 규제 정책보다 친환경차 생산·판매·구매 인센티브 정책에 무게를 둬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R&D·설비 투자비 부담을 완화하는 금융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5년 거치 10년 상환 이상 장기 저리 특별 금융 프로그램, 금융권의 미래차 특별 투자펀드 조성, 신용보증 확대, 미래차 전환 투자 비용에 대한 법인세 감면 등을 제안했다.

맞춤형 R&D 프로그램을 통한 업체의 기술 확보 지원과 대학을 통한 전문인력 양성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본부장은 “정부가 국내 완성차 부품 공급망에 대한 로드맵을 그릴 미래차 전환 지원단(가칭)을 설치·운영해 미래차 시대에 대응해야 한다”며 “정부부처·금융권·대학 등이 부품업계 미래차 전환을 지원하도록 협력하는 체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출처 : 전자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