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 오웰의 <1984>를 보면 모든 사람들이 텔레스크린을 통해 감시당하는 미래 사회가 묘사된다.
그리고 실제로 우리는 사생활을 보호받기 어려운 고도의 정보통신사회를 살고 있다.
구O에 검색을 하면 별의별 것을 다 알 수 있다. 한번도 만나본 적 없는 누군가가 나의 정보를 알고 있는 그런 세상이다.
예전에는 남녀가 현장에서 그냥 만났는데, 요즘은 모바일 메신저나 SNS 등으로 상대를 파악하고 만남을 결정한다. 이렇듯 간접적이고 한정적인 몇가지 모습으로 판단을 하다 보니 좋은 만남의 기회가 줄어든다.
남녀 만남을 주선하다 보면 그런 것을 실감하게 된다. 몇 년 전 일이다. 한 여성이 전화를 걸어 대뜸 목소리를 높였다.
“저한테 소개한 그 남자 분 머리카락 이식 수술 했다면서요?”
처음에는 무슨 말인가 했다. “그 남자 대머리인 거 왜 말씀 안하셨어요?”
왜 자신에게 머리카락을 심은 남자를 소개했느냐는 것이다. 물론 우리는 그런 사실을 알지 못했다. 모르는 게 당연했다.
고객에게서 받는 신상정보에 수술 내역까지 들어 있는 것도 아니고, 본인이 직접 얘기하지 않는 이상 알 수 없는 정보였기 때문이다.
그런 설명을 하면서 나는 그 남성의 무성한 모발이 실상은 이식수술의 결과물이라는 것도 신기했지만, 그 여성이 어떻게 그 사실을 알았는지가 더 신기했다. 몇 번 만나면서 서로 친숙해지면 그런 개인적인 얘기를 할 수도 있지만, 그녀는 그 남성을 딱 한번 만났을 뿐이다.
“구O에 검색하면 다 나와요.”
만남 약속을 잡고 여성은 남성에 대해 여기저기 알아본 모양이다. 그러다가 모발관련 사이트에서 남성이 다른 회원들과 주고받은 글을 봤고, 수술 사실을 알게 되었다고 한다. 긴가민가하면서 남성을 만났는데, 확인해보니 진짜였던 것이다.
남성에게 전화를 걸어 자초지종을 들어봤다.
“가족이나 가까운 친구 외에는 모르는 사실인데, 맞선 상대가 그 얘기를 하니까 처음에는 황당하더라고요. 수술을 할지 망설이면서 같은 고민을 하는 사람들끼리 얘기를 한 건데, 그게 어떻게 그분에게까지 알려졌는지.. 무서운 세상이네요. 일단 인터넷에 뭔가 올리면 족쇄처럼 따라다니나 봐요.”
그 남성이 도덕적으로 문제가 있는 것도 아니고, 두 사람을 주선한 우리에게 잘못이 있는 것도 아니었다.
수술 같은 지극히 개인적인 정보는 두 사람이 친밀한 상황에서는 충분히 이해될 수 있지만, 여성이 그 사실을 알고 남성을 만났다는 게 문제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