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방정식 20세기 vs 21세기>
197-80년대.
흔히 장례식이나 결혼식에 참석해서 내는 돈을
통틀어서 ‘부조금’이라고 한다.
‘부조’는 상부상조의 줄임말로
서로 의지하고 돕는다는 뜻.
그래서 부조금도 처음부터
지금과 같은 돈의 형태가 아니었다.
그보다는 이웃에서 큰 행사가 있는 경우
곡식이나 술 등의 필요한 물품을 주기도 하고.
그럴 형편이 안되면
노동력, 쉽게 말해 몸으로 때우기도 했다.
자기가 감당할 수 있는 선에서
성의표시를 했으니
부조를 하는 사람이나 받는 사람
모두 큰 부담이 없었다.
지금과 같은 현금 부조는 언제 등장했을까?
정확한 기록은 없지만,
많은 사람들의 경험상
1970-80년대로 추정된다.
1980년대에 본격적으로
부조록에 물품명 대신 현금 액수가
적히기 시작했다고 한다.
그러다가 예식장 입구에
축의금 접수대가 등장했다고.
그 시절에는
축의금 액수가 얼마나 되었을까?
1980년대에 사회생활을 시작한
60대 초반의 한 기업 임원의 기억을 빌려보자.
“그 당시는 몇 년 사이에
나를 포함해서 동기들이 우루루 결혼을 했는데,
친한 친구는 2만원 정도, 그냥 안면만 있는 정도면
5천원-1만원 정도 부조를 했던 것 같아.”
참고로 지금 5천원 정도인 짜장면 값이
1980년대는 500원 정도.
그 비율로 계산해보니
그 시절의 일반적인 축의금 액수가
5천원-2만원인 것이
일리가 있다.
201년 현재.
받으면 일단은 부담되는 것 중의 하나는
바로 청첩장일 것이다.
어려운 경제상황에서
그만큼 축의금 부담이 커진 까닭이다.
사실 축의금 상승률은 물가보다 더 높다.
국가통계포털에서 보면,
우리 생활과 밀접한 생활물가지수의 경우
2007년에 82.235에서
2017년 현재 100.97로
10년 사이에 23% 상승했다.
2000년 이전만 해도
웬만한 경우 1-2만원이면 충분했던
축의금 액수가
2000년 초반에 이르자
최소 3만원은 내야 체면이 섰고,
최근에는 5만원 내기가 어색한 분위기가 되었다.
즉, 기본 축의금이
3만원에서 5만원으로
67% 상승했다.
축의금이 물가보다
2배 이상 늘어난 것이다.
이렇게 큰 부담으로 작용하는 축의금,
그래서 주머니 사정이 좋지 않은 취준생 등 젊은이들이
축의금 알바까지 한다는 소리가
나올 만도 하다.
준 만큼 받아야 하고,
적게 내면 눈치 보이고,
이런 계산속의 축의금 문화가
개선되기를...
♥선우공식블로그
http://blog.naver.com/sunoo1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