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작비 100억 이상 대작 잇단 참패영화계 `충격`

글쓴이: 코젠트  |  등록일: 10.24.2018 10:05:22  |  조회수: 2279
올 추석 시즌 100억원 이상을 투입한 한국 영화 대작 4편 중 1편만 수익을 낸 것으로 나타나 국내 영화계가 충격에 휩싸였다. 연휴 기간이 작년보다 줄어 전체 관객 수가 지난해보다 감소한 데다 과당경쟁과 제작비 급등 여파로 업계는 풀이한다. 이 같은 적자 구조가 장기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24일 영화투자 업계가 4편의 흥행 실적을 조사한 결과 흥행 1위를 달린 대작 ‘안시성’은 23일까지 542만 명을 모았다. 투자배급사 NEW 측은 이날 “손익분기점 541만 명을 넘어섰다”며 “수출과 주문형비디오 수입을 합치면 흑자폭이 커질 것”이라고 밝혔다. 이 영화 제작비는 평균 상업영화의 세 배 규모인 220억원에 달했다.

그러나 120억원짜리 ‘명당’(208만 명)과 115억원짜리 ‘협상’(195만 명)은 부가판권 수입을 합쳐도 영업이익률이 마이너스 20~30%에 이를 전망이다. ‘물괴’(72만 명)의 수익률은 마이너스 70~80%로 추정된다. 100억원 이상을 투입한 이들 세 영화는 저마다 300만~400만 명을 모아야 손익분기점에 도달한다.

수익성이 악화된 이유는 영화시장 규모에 비해 대작 영화가 추석 시즌에 몰렸기 때문이다. 영화진흥위원회에 따르면 올 추석 연휴 9일간 관객 수는 889만 명으로 지난해 추석 연휴 기간보다 10% 이상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

대작 네 편이 동시에 쏟아져 제로섬경쟁을 벌인 것도 문제였다. 지난해 추석 시즌에 100억원 이상을 투입한 대작은 ‘남한산성’뿐이었고, 그전까지 매년 추석시즌에 100억원 이상 한국 영화는 1편 이하였다. 한 투자배급사 관계자는 “시장이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큰 작품들이 한꺼번에 나온 게 문제였다”며 “개봉 시기를 조율하는 협의체를 구성해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100억원 이상 작품이 4편이나 나온 이유는 영화 제작비가 3년 전보다 30% 정도 늘어났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한 제작사 관계자는 “편당 제작비가 급상승했다”며 “주 52시간 근로제가 시행되면서 촬영시간을 하루 8시간 이내로 맞추려다 보니 촬영일수가 크게 늘었다”고 말했다. 촬영 기간이 늘면 인건비, 숙식비, 장비대여료 등이 모두 상승한다. 초과 근로시간 임금도 예전보다 훨씬 높아졌다.

또한 배우와 A급 촬영스태프들의 임금도 솟구쳤다. 특히 지난해부터 드라마 제작 편수가 증가하면서 일부 촬영 스태프가 드라마업계로 옮겨가 영화계에 구인난이 발생했다. 요즘 A급 촬영감독은 편당 1억5000만원, 중견 촬영감독은 8000만~1억원을 받는다. 편당 임금 외 촬영 기간이 길어지면 추가 임금을 받는다. 이들은 연간 2~3편 정도 제작에 참여할 수 있다.

이 때문에 3년 전 제작비 80억원짜리 영화가 올해는 100억원 이상으로 높아졌다는 분석이다. ‘협상’과 ‘명당’ 등의 제작비도 3년 전엔 80억~90억원이면 충분했다.

투자배급사 입장에서는 ‘대작불패’ 공식이 깨진 게 더 큰 문제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100억원 이상 대작 중 절반 이상이 흑자를 거뒀지만 이제는 일반 상업영화 수준으론 성공률이 떨어진 것이다. 여기다 신생 투자배급사가 늘고 있어 내년에는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투자배급사 관계자는 “해외시장 등 새로운 판매처를 찾아내지 않으면 영화계는 위기에 빠질 것”이라며 “영화산업이 크게 축소된 일본을 따라가지 않을까 걱정”이라고 말했다.

유재혁 대중문화전문기자 yoojh@hankyung.com
DISCLAIMERS: 이 글은 개인회원이 직접 작성한 글로 내용에 대한 모든 책임은 작성자에게 있으며, 이 내용을 본 후 결정한 판단에 대한 책임은 게시물을 본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라디오코리아는 이 글에 대한 내용을 보증하지 않으며, 이 정보를 사용하여 발생하는 결과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라디오코리아의 모든 게시물에 대해 게시자 동의없이 게시물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정 · 복제 · 배포 · 전송 등의 행위는 게시자의 권리를 침해하는 것으로 원칙적으로 금합니다. 이를 무시하고 무단으로 수정 · 복제 · 배포 · 전송하는 경우 저작재산권 침해의 이유로 법적조치를 통해 민, 형사상의 책임을 물을 수 있습니다. This article is written by an individual, and the author is full responsible for its content. The viewer / reader is responsible for the judgments made after viewing the contents. Radio Korea does not endorse the contents of the articles and assumes no responsibility for the consequences of using the information. In principle, all posts in Radio Korea are prohibited from modifying, copying, distributing, and transmitting all or part of the posts without the consent of the publisher. Any modification, duplication, distribution, or transmission without prior permission can subject you to civil and criminal liability.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