갓리둥절` 킹덤 본 외국인들 "저 멋진 모자는 대체 뭐지" - 기사펌

글쓴이: 케세라  |  등록일: 01.31.2019 09:13:23  |  조회수: 2487
갓을 본 외국인들이 ”대체 저 멋진 모자는 뭐냐”며 궁금해 하고 있어 설명해 주고 싶은 욕망을 참을 수가 없다.

트위터에 ‘킹덤‘(Kingdom)과 ‘모자’(hat)로 검색하면 수십 개의 포스팅이 펼쳐진다. 개중에는 심지어 나름의 분석을 시도한 사람도 있다. 

″넷플릭스 ‘킹덤’ 정말 완전 좋은데 최고는 역시나 모자”


Josh You@JustJoshinYou13
Netflix's Kingdom is so damn good. And the best part of the show, of course, is the hats

7
9:11 PM - Jan 27, 2019
See Josh You's other Tweets
Twitter Ads info and privacy
″한국 조선 시대의 좀비 드라마 킹덤을 정말 재밌게 보고 있는데, 우리 영화에 나오는 모자 얘기 좀 할 수 있을까? 대체 이 (다 다른) 모자들이 무슨 의미인지 알려줄 학자가 필요해.”


John Hornor Jacobs
✔@johnhornor
Really enjoying KINGDOM on Netflix, the Joseon era Korean zombie show, but can we talk about all the hats in the show for a hot second? I need a scholar of Korean history to unpack all of these lids.

892
11:34 AM - Jan 28, 2019
1,264 people are talking about this
Twitter Ads info and privacy
″킹덤 정말 오 마이 XX갓. 이런 모자는 본 적이 없어.”

<iframe src="https://imasdk.googleapis.com/js/core/bridge3.274.0_en.html#goog_1409467027" allowfullscreen="" allow="autoplay" width="550px" height="310px" style="list-style: none margin: 0px padding: 0px border-width: 0px border-style: initial box-sizing: inherit display: block opacity: 1 position: relative">
View image on TwitterView image on TwitterView image on TwitterView image on Twitter


″킹덤 정말 꼭 봐야 함. 킹덤은 좀비와 진짜 멋진 모자에 관한 영화임. ”

View image on Twitter

특히 몇몇 사람들은 양반들이 왜 때와 장소에서 모자를 바꿔가며 쓰는지를 이해하지 못하고 특별한 의미를 담고 있는 것은 아닌지 궁금해하고 있다.

<iframe src="https://ad.hani.co.kr/RealMedia/ads/adstream_sx.ads/www.huffingtonpost.kr/a_all@Left2" width="300px" height="250px" marginwidth="0" marginheight="0" frameborder="0" scrolling="no" style="list-style: none margin: 0px padding: 0px border-width: 0px border-style: initial box-sizing: inherit display: block">
간단히 설명하자면, 조선시대 양반들은 집안에서 흑색 모자(킹덤에서 조학주 대감이 쓰는 정자관)를 쓰고 격식과 위엄을 드러냈다. 외출 때나 의례행사 등 의관을 갖추어야 할 때는 흑립(검은 갓)을 썼다. 관직자가 등청할 때는 사모를 썼으며, 내금위 등은 직급에 따라 모자가 다 달랐다. 관혼상제 때는 또 그에 따른 모자가 있었으니 조선은 모자의 나라였다.

한 트위터 사용자는 ”여기 조선 시대 모자의 종류를 모은 샘플이 있다”며 한 장의 사진을 공유하기도 했다. 해당 그림을 보면 흑립, 복건, 탕건, 사모, 정자관 등이 나름 구분하기 쉽게 표현되어 있다. 

View image on Twitter
DISCLAIMERS: 이 글은 개인회원이 직접 작성한 글로 내용에 대한 모든 책임은 작성자에게 있으며, 이 내용을 본 후 결정한 판단에 대한 책임은 게시물을 본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라디오코리아는 이 글에 대한 내용을 보증하지 않으며, 이 정보를 사용하여 발생하는 결과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라디오코리아의 모든 게시물에 대해 게시자 동의없이 게시물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정 · 복제 · 배포 · 전송 등의 행위는 게시자의 권리를 침해하는 것으로 원칙적으로 금합니다. 이를 무시하고 무단으로 수정 · 복제 · 배포 · 전송하는 경우 저작재산권 침해의 이유로 법적조치를 통해 민, 형사상의 책임을 물을 수 있습니다. This article is written by an individual, and the author is full responsible for its content. The viewer / reader is responsible for the judgments made after viewing the contents. Radio Korea does not endorse the contents of the articles and assumes no responsibility for the consequences of using the information. In principle, all posts in Radio Korea are prohibited from modifying, copying, distributing, and transmitting all or part of the posts without the consent of the publisher. Any modification, duplication, distribution, or transmission without prior permission can subject you to civil and criminal liability.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