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리핀의 해저 핵 잠수함기지/천안함사건

글쓴이: 나도왔네1  |  등록일: 01.24.2014 21:55:23  |  조회수: 3246
"천안함사건과 제주 강정마을의 해군기지 건설은 이와 같은 작전의 연장선 상에
있었고,진행 중이다."

'미국과 이스라엘은' 중국을 멀리서 서서히 조여 오면서,포위를 하고 있지만 '중국은 더 크게' 바깥으로부터 역 포위를 하고 있다. '누가 이기나 구경하는 재미도 있겠지만,그 전에 우리는 사라진다.'/미국과 이스라엘의 장관과 대통령이 헐레벌떡 찾아와 조문을 한 것은 우리의 장병에게 한 조문이 아니었고,서둘러 치워야할 무언가가 있었다. 우리의 국방부는 벙어리 냉가슴을 앓으면서 '시키는대로 사건을' 발표할 수 밖에 없는 속사정이 있었던 것이다. 북한어뢰1번(?)

"그들은 이것을 은폐하기 위하여....애꿎은...아,고인들의 명복을 빕니다."

<< "美, 필리핀에 비밀 핵잠수함 기지 설치"<대만 매체> >>

미군이 남중국해와 인접한 필리핀 해안 지역에 비밀 잠수함 기지를 설치, 운용하고 있다고 대만 언론이 22일 보도했다.

자유시보는 중국 관영 환구시보(環球時報)를 인용해 미국 해군이 필리핀의 '미니 수비크만'이라고 불리는 지역에 이 같은 기지를 조성했다고 전했다.

이 기지는 남중국해 정찰활동에 투입되는 미 해군의 핵잠수함용인 것으로 알려졌다.

소식통은 이 기지에 거대 수중 동굴이 있고, 레이더 시설과 최첨단 잠수함 유지·보수 설비 등이 갖춰져 있다고 소개했다.

대만 언론은 이 비밀 기지가 있는 곳이 필리핀 서부 팔라완 오이스터만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관측했다.

오이스터만은 필리핀 당국이 기존 해군시설을 확충해 해군기지로 개발하는 곳으로 대형 함정의 기항이 가능해 군 일각에서 미니 수비크만으로 불린 곳이다.

필리핀 당국도 중국과의 남중국해 영유권 분쟁 등을 고려해 이 신설 기지에서 미군 함정 등에 급유 등을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남중국해 일대는 최근 중국의 영유권 강화 움직임에 맞서 미국이 적극적인 개입 의지를 보이는 가운데 필리핀, 베트남, 미얀마, 태국, 대만 등 주변국들도 군비 도입 경쟁에 나서면서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고 대만 매체는 진단했다.

http://media.daum.net/politics/dipdefen/newsview?newsid=20140122104211109
DISCLAIMERS: 이 글은 개인회원이 직접 작성한 글로 내용에 대한 모든 책임은 작성자에게 있으며, 이 내용을 본 후 결정한 판단에 대한 책임은 게시물을 본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라디오코리아는 이 글에 대한 내용을 보증하지 않으며, 이 정보를 사용하여 발생하는 결과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라디오코리아의 모든 게시물에 대해 게시자 동의없이 게시물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정 · 복제 · 배포 · 전송 등의 행위는 게시자의 권리를 침해하는 것으로 원칙적으로 금합니다. 이를 무시하고 무단으로 수정 · 복제 · 배포 · 전송하는 경우 저작재산권 침해의 이유로 법적조치를 통해 민, 형사상의 책임을 물을 수 있습니다. This article is written by an individual, and the author is full responsible for its content. The viewer / reader is responsible for the judgments made after viewing the contents. Radio Korea does not endorse the contents of the articles and assumes no responsibility for the consequences of using the information. In principle, all posts in Radio Korea are prohibited from modifying, copying, distributing, and transmitting all or part of the posts without the consent of the publisher. Any modification, duplication, distribution, or transmission without prior permission can subject you to civil and criminal liability.
댓글
  • 나도왔네1  01.24.2014 22:00:00  

    "이 사람은 누구요?

    예,폭파 전문가입니다.

    아,그렇습니까?

    "이 사람은 또 누굽니까?

    예,잠수 전문가입니다.

    아,그렇습니까?

    이렇게,각본과 연출은 이루어 졌고,사건은 미궁으로 빠지게 만들었다.

    하지만,

    그리 오래 가지 않을 것이다.

    "안수명 박사의 입국을 허락하라!!

    과연,그들이 서둘러 치워야 했고,그 존재를 은폐하려고 했던 것은 무엇인가?

    천안함 3년 넘게 해외조사단 정체도 오리무중

    [천안함 공판] 법정서 처음 미국 조사단 명단 일부만 공개 “함정구조분과, 보고서 제출도 안했다”

    입력 : 2014-01-14 13:54:55 노출 : 2014.01.14 15:41:18

    조현호·강성원 기자 | chh@mediatoday.co.kr


    천안함 침몰사고가 4년 가까이 돼 가고 있는데도 국제적인 공신력을 확보한다며 참여했던 해외 다국적 조사단의 실체가 일부만 제외하고 여전히 공개되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13일 오후 서울중앙지법 형사 36부(재판장 최규현 부장판사) 심리로 열린 신상철 서프라이즈 대표(전 민군합조단 민간위원)의 천안함 관련 명예훼손 공판에 출석한 박정수 당시 합참 전력차장 겸 민군합조단 함정구조/관리 분과장(현 해군 준장)은 자신이 맡았던 함정구조관리분과에 편성된 미국 조사위원 5명의 명단을 처음으로 공개했다.

    박 준장은 해당 분과의 미국 조사위원 5명에 대해 토머스 에클스 해군소장이 데려온 사람들로, 엘런 맥코이(중령-사고조사), 조셉 데이(대위-시스템 엔지니어 전문가) 하이스(대위-폭파관련)과 하이퍼(구조잠수 전문가), 엘슨(무기역학) 등이라고 증언했다. 이 가운데 하이퍼와 엘슨이 군인인지에 대해 정확히 기억나지 않으며, 이들 팀원이 각각 (미국에서) 어느 쪽 소속인지는 잘 모른다고 박 준장은 전했다.

    어떻게 그것도 파악하지 않았느냐는 변호인의 추궁에 박 준장은 “에클스 제독이 데리고 왔고, 전문가라고 해서 파악하지 않았다”고 답했다. 또한 함정구조 관리분과에 소속된 이들 미국팀이 제출한 보고서도 없다고 박 준장은 전했다. 미국팀이 한 차례 합조단 내에서 천안함 침몰원인을 분석해 발표한 적은 있으나 문서형태로 당시 분과장이던 박 준장에게 보고한 적도 없다고 그는 증언했다.

    영국의 조사팀장인 데이비드 맨리에 대해서도 박 준장은 함정구조관리(선체)분과에 영국인이 1명으로, 선체 관련 휘핑(whipping:충격에 구부러지는 현상) 관련 설명을 했으며, 민간인으로 안다고 전했다. 특히 맨리 팀장이 2010년 4월 30일 합조단 내부 합동토의에 참석해 폭발 원인 보다는 측정장비를 강조하자 박정수 준장이 그날 점심 식사자리에서 신 대표와 같은 테이블에 앉아 ‘장비 팔아먹기 위해 안달이다’라는 취지의 말을 한 사실이 있느냐는 변호인의 질문도 나왔다. 박 준장은 “기억나지 않는다”며 “영국 조사위원을 영국 국가에서 공식적으로 파견했는지는 모르며, 자기들 나라에서 돈 대서 온 걸로 알고 있다"고 답했다. 이 같은 질문을 한 근거는 신 대표가 당일 합조단 회의에 참석해 발표가 끝나고 박 준장과 점심 식사하는 자리에서 박 준장으로부터 그런 얘기를 들은 기억이 있기 때문이라고 신 대표와 변호인단이 설명했다.

    영국 조사팀의 보고서 제출여부에 대해서도 박 준장은 “보고서를 나한테 제출하지 않았다”며 “총괄팀에서 회수해 받았는지는 모르겠다”고 답했다.


    호주 조사위원 2명의 경력과 조사활동에 대해 박 준장은 “폭파 전문가라는 얘기를 들었으며, 호주에서 폭파 실험한 자료를 가져와 보여줬다”며 보고서 제출과 관련해 “조사보고서를 따로 제출하지는 않았다”고 답했다.

    스웨덴 조사팀 역시 보고서를 제출하지 않았다고 박 준장은 증언했다. 특히 정부에서 스웨덴의 분석이라면서 ‘관성에 의해 함미 프로펠러가 휘었다’는 주장의 근거인 스웨덴 가메와사 자료를 왜 받아오지 않았느냐는 변호인의 신문에 박 준장은 “스웨덴 조사팀에서 구두로만 (관성에 의해 휘어진 것을) 얘기해 듣기만 했다”며 “가메와사에서 시뮬레이션 등 돈(5000달러)을 주면 제출할 수 있다고 했다. 용역비를 달라는 것이다. 하지만 돈과 연결되는 문제여서 자료 요구를 안 했다”고 답했다. 박 준장은 “우리도 저 현상 처음 보는데 폭파에 의한 증거가 명백한 반면, 프로펠러가 휘어진 것은 부차적인 것이라 생각했다”며 “(나중에) 고 시뮬레이션은 노인식 박사가 했다”고 말했다.

    외국팀 보고서도 안 받고 최종 조사보고서를 작성한 것은 부실한 것 아니냐는 변호인의 추궁에 대해 박 준장은 “외국조사팀이 보고서를 제출할 의무는 없으며, 공조체제이자 전문가 의견으로 우리의 부족한 부분을 코멘트하고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한 역할을 한 것”이라며 “모든 조사에 참여해 공정한 평가를 받기 위함이었다”고 말했다.

    해외 조사단을 부르게 된 경위에 대해 박 준장은 “북한 소행이지만 외국 공조를 받고 정확한 검증을 하려면 객관적으로 평가해줄 수 있는 방법의 하나로 국방부 차원에서 논의한 걸로 안다”며 “함수와 함미를 인양(4월 15일과 23일)하고 내부적으로 어뢰 폭발로 추정하고 있었다”고 전했다.

    천안함 최종보고서에 따르면 해외조사단은 모두 24명(미국 15명, 스웨덴 4명, 호주 3명, 영국 2명)이다. 이 가운데 과학수사분과에 외국조사단이 11명, 함정구조/관리분과에 10명, 폭발유형분석분과에 2명이 활동했다.


    실제로 미국 조사단을 제외하고, 외국 조사단이 어떤 일을 했는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뚜렷이 나타난 것이 없다. 미국조사팀이 천안함의 어뢰 폭발 분석을 먼저 제시해 우리 조사팀은 이를 근거로 시뮬레이션을 하도록 했다는 대목은 천안함 보고서에 나온다. 보고서에는 “미국팀은 전문기법을 활용해 폭발량과 폭발위치를 판단해, 한국팀이 미국팀과 영국팀의 판단을 근거로 시뮬레이션 분석을 수행했다”, “미국팀 분석결과 천안함과 유사한 손상을 발생하는 폭발의 폭약량은 TNT폭약량 200~300kg, 폭발 위치는 가스터빈실 중앙 하단에서 좌현 3m, 수심 6~9m로 판단됐다” 등이 기록돼 있다. 이밖에도 2010년 5월 14일 특수그물을 이용해 백령도 사고해역에서 증거물 채증 현장을 참관한 것, 어뢰추진체 발견 이틀 뒤에 이를 놓고 토의한 것 등이 활동 내역으로 보고서에서는 설명했다.

    신상철 대표의 변호인인 이강훈 변호사는 14일 미디어오늘과 인터뷰에서 “미국과 영국 등 모든 조사단이 구두로 설명했으며 낸 보고서도 없다는 것은 뭔가 조사결과에 신뢰를 주지 못하는 것”이라며 “무엇보다 수년이 지났는데도 참석한 외국인 명단조차 공개도 안하느냐”고 지적했다.

    이 변호사는 “전문가들로부터 검증받아 책임있게 조사를 진행할 목적이라면 그 해외 전문가들이 얼마나 자격이 있는지 공개하고 검증받아야 하는데, 왜 그런 자격에 대해 투명하게 밝히지 못하는지 의문”이라며 “그나마 미국 조사단 일부의 명단도 법정 증거조사 과정에서야 겨우 얘기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조현호·강성원 기자의 트위터를 팔로우 하세요. @ mediacho

    "안철수와 안수명은 뭐가 다른가?

    이름을 놓고 보면 '국민의 뜻이 아닌데도 정치판에서 철수를 NO하는 '안철수'

    '본인의 뜻을 밝히고자 수명(목숨)을 내놓고 천암함의 진실을 알리려고

    수명(목숨)을 NO하는 '안수명'

    NO BACK !! NO LIFE !!

    저는 잠수함 전문가입니다. 제가 운영하는 <안테크>는 FORACS (Fleet Operational Readiness Accuracy Checking System)라는 일을 하였습니다. 이는 노르웨이, 그리스, 미국을 위하여 잠수함의 항해기구를 조정하는 것이었습니다.

    <안테크>는 이 일을 아주 잘하여 상을 받았으며 그동안 1,000여 편 이상의 대잠수함전에 대한 보고서를 발표하였고 그 대부분의 보고서는 미국 일급 기밀문서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저는 순항미사일(Cruise Missile)의 유도법과 항법의 이론을 정립하였고, 그이론을 실전에 응용하였습니다. 저는 이 공헌으로 전기전자학회, IEE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와 미항공우주학회, AIAA(American Institute of Aeronautics and Astronautics). 의 fellow로 선출된 바 있습니다.

    저는 대잠수함전에 있어서 세계 최고라고 자부하며 전쟁의 개념을 대량파괴로 부터 정확도로 바꾸었다는 평가는 저를 무척 자랑스럽게 하지만, 제가 개발한 무기의 일부가 고문을 합리화 하고 정당화하는데 사용된 것은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었습니다. 2003년의 이라크 전쟁 때에 발생한 일입니다

    http://www.poweroftruth.net/news/mainView.php?uid=3203&table=byple_news

  • freechal  01.25.2014 11:32:00  

    이건 또 뭐하자는 건지.... 이상한데 꽂히는 인간들 참 많네